■ 고대
골(Gaule)족의 정착 : 기원전 8세기경부터 Indo-European 계의 일파인 Celt족이 현재의 프랑스 영토에 이주, 원주민을 몰아내고 정착하였는 바, 이 지역을 로마인들이 Gallia라 부르고 이 지역에 정착한 Celt족을 Gallia족이라 불렀습니다.(이후 Gallia가 불어명으로 Gaule이 됩니다.)
나. 로마의 지배 : 남불 해안지역은 B. C. 121년 로마의 속령이 되었고, 나머지 Gaule 지역은 B. C. 58-51년에 걸쳐 Caesar가 로마에 복속시켰습니다. 이후 Gaule족의 라틴화가 추진되었고, Gaule족의 고유문화에 로마문화가 이식된 Gallo-romaine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시대에 Gaule 족에 보급되어 변형된 라틴어가 불어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 중세
1. 프랑크(Frank) 왕국
1) 메로빙(M rovingiens) 왕조 (481-752)
4-5세기에 걸쳐 진행된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시 프랑스 동북부는 Frank족이, 서남부는 Wisigoth족이, 동남부는 Burgundy족이 점령하였습니다. 481년 Frank 부족중의 하나인 메로빙 가(M rovingiens)의 Clovis가 Frank왕국을 건설한 이후 Frank왕국은 Wisigoth와 Burgundy 족을 물리치고 세를 확장, Gaule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소수 지배민족인 프랑크족과 다수 피지배 민족인 Gaule족간에 동화가 서서히 진행되었습니다.
2) 카롤링(Carolingiens) 왕조 (752-987)
752년 카롤링가(Carolingiens) 의 P pin이 Frank 왕국의 왕으로 추대되어 카롤링 왕조가 수립되었고, 800년에는 Frank왕국의 Charlemagne 대제가 Gaule 지방 전체, 이태리 북부, 라인강 유역 일대에 걸치는 대제국을 건설하는 한편, 회교도의 유럽침입을 막아내어 로마교황 레오 3세로부터 서로마 황제의 칭호를 받았습니다.
843년 Charlemagne 대제의 손자 3형제간에 체결된 Verdun 조약에 의하여 Frank 제국이 3분 되었는 바, 이중 Charles 2세가 차지한 서부 프랑크 (Frank Occidentalis)가 프랑스의 모체가되었습니다. 9세기말 노르만족(바이킹)이 프랑스 북부지역과 세느강 유역에 침입, 정착하였습니다. (현재의 노르망디 지방)
2. 중세봉건왕조
1) 카페(Cap tiens) 왕조 (987-1328)
987년 Hugues Capet가 왕으로 추대되어 Capet 왕조가 성립되었고, 전형적인 중세 봉건제도가 정립되었으며, Gaule 족과 Frank족간의 동화가 가속화 되었고, Frank족이 게르만어를 버리고 피지배민족의 언어인 불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나, 불어도 게르만어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었습니다.
2) 발로아 (Valois)왕조 (1328-1589)
1328년 Philippe 6세에 의하여 Capet 왕가의 방계인 Valois 왕조가 수립되었고, 발로아 왕조는 영국의 침입을 받고 1337년~1453년에 걸친 오랜 투쟁(백년전쟁) 끝에 영국인들을 축출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영국과의 투쟁 와중인 1348-1360년간 흑사병의 창궐로 인구가 격감하고 국토가 황폐화되었습니다. 15세기말부터 이태리로부터 르네상스문화가 도입되어 16세기에 Loire강 유역을 중심으로 불란서 르네상스의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1560년~1598 년에 걸쳐 신교도와 구교도간 8차에 걸친 종교전쟁을 겪었습니다.
■ 근 세
부르봉 (Bourbon) 왕조 (1589-1792)
1589년 Capet 왕가의 또 다른 방계인 Bourbon가의 Henri 4세에 의하여 수립된 Bourbon 왕조 초기에는 왕권이 미약하였으나, Henri 4세가 제후들과의 오랜 투쟁을 통하여 지배권을 확보하였고, 이어 Louis 13세, Louis 14세 시대에는 절대주의 왕권의 절정을 이루어 Louis 14세는 태양왕이라 불렸습니다.
Louis 13세와 Louis 14세에 걸친 1618년~1648년의 30년 전쟁을 통하여 Bourbon 왕가는 신성로마제국의 Habsburg 왕가와 대륙 패권 경쟁을 하였고, 특히 Louis 14세는 수차의 전쟁을 통하여 유럽대륙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해외 식민지 개척에도 힘을 기울여 신대륙에 Louisiana, Canada, Antilles 등 방대한 해외령을 확보하고 인도에도 식민지 개척의 거점을 확보하였습니다.
■ 대혁명
1. 대혁명
1) 혁명의 발발
Louis 14세에 절정에 달하였던 Bourbon 왕조는 Louis 15세와 Louis 16세에 걸쳐 점차 약화된 반면, 상업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부르주아 계급이 새로운 세력으로 대두하였고 Voltaire, Montesquieu, Rousseau 및 백과전서파에 의하여 확산된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자유주의, 평등주의 사상이 확산되어 귀족, 승려 등 특권층에 대한 피지배 평민계층의 비판의식이 높아진데다 부패한 왕실에 대한 시민의 불만이 고조되어 대혁명이 발발하게 되었습니다.
1789년 5월 5일 Louis 14세는 재정난 해결을 위하여 3부회를 소집하였는 바, 평민대표들은 봉건특권폐지, 평등과세 등 개혁을 주장하다가 관철되지 않자 1789년 6월 17일 평민대표들만으로 구성된 국민의회를 선포하였고, 1789년 7월 9일 귀족 및 승려 계급의 참여하에 국민의회를 제헌의회로 개칭하여 헌법 제정을 추진하였습니다. 한편, 1789년 7월 14일 파리 시민군에 의하여 정치범 수용소인 Bastille 감옥이 파괴됨으로써, 프랑스혁명이 발발하였고, 1789년 7월 16일 파리시 자치정부(Commune de Paris)가 수립되었으며, 1789년 8월 26일 인권선언이 선포되었습니다.
2) 제 1 공화국
혁명초기에는 La Fayette, Mirabeau, Bailly, Sieyes등 입헌군주파가 주도권을 장악, 1791.10.1 헌법을 채택하고 입헌군주제를 성립시켰습니다. 그러나, 1791.6. Louis 16세 일가의 국외탈출 기도, 프러시아 및 오스트리아의 혁명 진압 출병을 계기로 혁명이 과격화되어 입헌군주파들이 밀려나고 1792년부터는 공화파들이 혁명의 주도권을 장악, 1792.9.21 왕정폐지를 선포하고 국민공회(Convention)가 통치하는 공화국을 수립하였으며, 1793. 1.21 Louis 16세를 처형하였습니다.
공화국 초기에는 공화파중에서 계몽 부르주아 중심의 혁명을 지향하는 온건 지롱드당(Girondins)이 우세하였으나, 1793년초부터 Danton, Marat, Robespierre 등 산악당을 주축으로 하는 급진 자코벵당(Jacobins)이 지롱드당을 축출하고 공안위원회(Comit de Salut Public)라는 일종의 혁명재판소를 구성, 반혁명 협의자에 대한 대규모 숙청을 감행, 공포정치를 하였습니다.
Marat는 1793년 7월14일 암살되고, Danton은 1794년 4월 4일 Robespierre에 의하여 처형됨에 따라 Robespierre가 독재권을 장악했으나, Robespierre의 지나친 공포정치에 반대하는 국민공회가 1794년 7월 Robespierre를 처단함으로써 공포정치가 종식되고 5인의 집정관(Directoire)에 의한 집단지도체제가 수립되었습니다.
3) 혁명의 중단
1795년 9월 23일 수립된 5인 집정관체제는 구심점이 없이 약체화 되고, 재정난에 부딪치게 되자 왕당파를 비롯한 반혁명 세력의 도전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를 틈타 Napoleon이 1799년 12월 13일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였습니다. Napoleon은 형식상 3인의 집정관(Consul)으로 구성되는 집정체제(Consulat)를 수립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제1집정관인 Napoleon이 모든 실권을 장악하는 독재정권이었으며, 1804년 5월 18일 Napoleon이 제위에 오름으로써 대혁명은 일단 중단되었습니다.
2. 제 1 제정 (1804-1814)
1799년 쿠데타로 집권한 Napoleon은 근대 민법전(일명 나폴 레옹 법전) 제정, 근대적인 행정, 사법, 교육, 군사제도를 확립하는 한편, 피정복지에 근대적인 제도를 확산하여 프랑스 혁명정신을 구현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반면, Napoleon은 국내적으로 1인 독재체제를 구축하고, 1804년에는 황제로 즉위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전 유럽을 전쟁 으로 몰아넣었습니다. 영국을 비롯,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러시아 등이 연합하여 Napol on에게 대항하였으나 Napol on의 연속적인 군사적 승리로 인하여 유럽 대륙의 대부분이 Napol on제국의 직접통치하에 들어가거나 Napol on의 헤게모니 하에 들게 되었습니다. Napol on은 대 Napol on연합의 주축인 영국 정복을 시도하였으나, 1805년 10월 Trafalgar 해전에서 영국에게 패하였고, 경제적 압박으로 영국을 굴복시키고자 1806년 11월 Berlin칙령과 1807년 11월 Milano칙령으로 유럽대륙과 영국의 교역을 금지하는 대륙봉쇄령을 발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Napoleon은 1812년 6월~11월에 걸친 러시아 원정에서 실패하고, 1813년 10월 Leipzig에서 프러시아, 오스트리아, 영국 연합군에게 패하여 1814년 4월 퇴위하고 지중해의 Elba섬에 유배되었음. 이후 Elba섬을 탈출 재집권하였으나 1815년 6월 Waterloo에서 영국, 프러시아 연합군에게 패하여 1815년 6월 22일 재차 퇴임함으로써, Napol on의 복위는 100일 천하로 끝나고 제 1 제정도 완전히 종료하였습니다.
3. 부르봉 왕정복고 (1814-1830)
Napoleon 퇴진의 중심세력인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러시아 등 군주국가의 영향으로 Bourbon 왕가의 Louis 18세가 1814년 6월에 즉위하여 (100일 천하중 망명) 왕정복고가 이루어졌고, 1824년 Charles 10세가 즉위하였으나 곧 이어 혁명의 재발로 Bourbon 왕조는 종료되었습니다.
4. 7월 왕정 (1830-1848) : 1830년 7월 혁명의 발발로 Charles 10세가 퇴위하였으며, Bourbon왕가의 방계인 Orl ans 왕가의 진취적인 인물인 Louis-Philippe이 프랑스 국민의 왕으로 즉위하였습니다.
5. 제 2 공화국 (1848-1852) : 1848년 2월 혁명이 발발하여 Louis-Philippe이 퇴위하고 공화국이 선포되었고, 1848.12 Napoleon 1세의 조카 Louis Napoleon이 대통령에 당선되었습니다.
■ 현대
1940년 독일군이 파리에 입성하자, 프랑스 정부는 수도를 비시로 옮기고 괴뢰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제3공화국 정부는 비시정부를 지지하며 종말을 맞았습니다. 한편, 드골은 런던에서 자유프랑스위원회를 조직하고, 1944년 파리가 연합군에 의해 수복된 후 임시정부를 구성하였습니다. 1946년 제헌의회를 통해 제4공화국이 성립되었습니다.
제4공화국(1946-1958)은 의원내각제의 모순과 군소정당의 난립, 만성적 인플레이션, 식민지 독립운동으로 혼란을 겪었습니다. 알제리 문제로 드골이 수상으로 지명되었고, 1958년 제5공화국이 성립되었다. 드골은 1965년 재선되었으나, 1969년 국민투표에서 패배하고 퇴진하였습니다. 이후 퐁피두가 대통령이 되었고, 지스카르 데스탱이 정권을 인수하였습니다. 1981년 미테랑이 대통령에 취임하였습니다.
제5공화국 헌법은 대통령의 권한을 확대하고 의회의 권한을 제한하였습니다. 대통령은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7년입니다. 의회는 국민의회와 상원으로 구성되며, 국민의회는 577석, 상원은 321석으로 이루어집니다. 제5공화국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건사고
사건ㆍ사고 현황
★ 2015.11.13. 대규모 테러 발생 후 지속적으로 크고 작은 테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내전, 테러(피랍)사건 등 동향]
ㅇ 지난 2020.10월 니스 노트르담 성당 테러 사건 이후, 프랑스는 대테러 경보단계를 2단계(Risque attentat)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프랑스 군.경찰 당국은 에펠탑 등 관광지와 기차, 지하철역 등에 대한 여행객 소개 및 검문 강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테러 위협 관련 뉴스를 수시로 확인하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출입을 가급적 삼가 하는 등 신변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ㅇ 프랑스는 강력범죄 등에 있어서는 유럽 내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관광객이 많아 관광지나 파리 외곽지역, 유흥가, 지하철 역 등에서 소매치기 및 절도, 강도 등의 피해가 아주 많이 발생합니다.
ㅇ 특별히 프랑스 여행을 계획할 경우, 지갑 및 여권, 기타 귀중품 등의 도난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주요 사건ㆍ사고 유형]
ㅇ 아동을 동반한 일가족 소매치기단의 소매치기 범죄 및 여행객 대상 소매치기 범죄가 자주 발생합니다. 반드시 중요 물품이 든 가방은 몸 앞쪽으로 매고, 옷 주머니 등 접근이 용이한 곳에 지갑이나 휴대폰을 두지 않도록 하는 등 범죄 피해 예방 노력이 필요합니다.
ㅇ 또, 2~3인이 1조가 되어 움직이는 오토바이 강도단은 다량의 현금이나 고가의 물품을 소지한 것으로 보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공항에서부터 추적하다가, 상시 정체구간인 파리 인근 Landy 지하터널에서 정지된 차량 유리창을 부수고 귀중품을 절도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량 탑승 시 귀중품은 항상 의자 밑이나 뒷 트렁크에 넣고, 무릎에 올려놓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지 않도록 앞차와의 간격을 충분히 두고 서행하여 공격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이 경우, 신체 부상 등 더 큰 피해 방지를 위하여 강도를 당하는 순간 저항하지 말고, 사고 후 즉시 경찰 신고와 아울러 신용카드 및 휴대폰 정지 요청 조치가 필요합니다.
ㅇ 그리고 차량통행이 비교적 한산한 주말 시간, 도로나 휴게소에 주차한 자동차 문을 파손하고 가방 및 물품을 절도하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으므로, 하차 시에는 가방 및 물품 등을 트렁크에 넣고 귀중품은 직접 소지,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건ㆍ사고의 유형
[빈번한 교통사고 유형]
ㅇ 도심에서는 일방통행과 교차로가 많고, 도로 곳곳에 오토바이가 질주하고 자전거도 많은 편이라 접촉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량은 교통신호을 잘 지키는 편이나, 보행자들은 신호를 무시하고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로 인한 사고도 종종 발생하므로 운전시 보행자와 오토바이, 자전거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연재해]
ㅇ 프랑스는 태풍, 폭우 등 자연재해 발생 경우가 많지 않으나,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여름철 초고온 현상, 겨울철 폭설이나 폭우 등의 이상 현상이 가끔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의해야할 지역]
ㅇ 오페라, 에펠탑, 몽마르뜨 등 주요 관광지, 지하철, 기차역(북역, 동역 등) 주변, 샤를 드골 공항에서 파리 중심까지의 RER(교외급행전철)선, 술집이 많은 피갈 유흥가 지역 등에는 항상 소매치기가 많으므로 소지품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지연락처
[대사관 연락처]
ㅇ 주소 : 125 rue de Grenelle 75007 Paris, FRANCE(지하철 13번선 Varenne 역)
ㅇ 대표번호(근무시간 중) : (33) 1-4753-0101
ㅇ 긴급연락처(사건사고 등 긴급상황 발생 시, 24시간) : (33) 6-8028-5396
ㅇ E-mail : consulat-fr@mofa.go.kr
[주재국 신고]
ㅇ 경찰 : 17, 112
ㅇ 소방서 : 18
ㅇ 분실물 센터(파리 및 인근) : (+33 0) 821 002 525
[의료기관 연락처]
ㅇ 종합병원
- Hopital HOTEL-DIEU : 1 place du Parvis Notre-Dame, 75004 Paris (전화 : (+33 0) 1 4234 8234)
- Hopital EUROPEEN-GEORGES-POMPIDOU : 20 rue Leblanc, 75015 Paris (전화 : (+33 0) 1 5609 2000)
ㅇ 소아병원
- Hopital NECKER : 149 rue de Sevres, 75015 Paris (전화 : (+33 0) 1 4449 4000)
ㅇ 앰블란스 등 응급의료 서비스 : 국번없이 15(SAMU)
ㅇ 응급의사 : (+33 0) 1 4707 7777
ㅇ 응급약국 : (+33 0) 1 4562 2041 (84 Avenue des Champs-Elysees, 75008 Paris)
ㅇ 원칙적으로 약품 구입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하나, 감기약, 진통제 등 몇몇 기본 의약품은 처방전이 없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ㅇ 의사의 진료를 위해서는 사전 예약이 필수적이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종합병원 응급실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영어로 의사소통 가능한 파리 소재 일반의 연락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 Dr. Francis Slattery : 10 Rue D' Eylau,75016 Paris (전화 : (+33 0) 1 4742 0234)
- Dr. Nancy Salzman : 1 Avenue de Lowendal, 75007 Paris (전화 : (+33 0) 1 4563 1843)
- Dr. Stephen Wilson : 54 Rue des Archives, 75004 Paris (전화 : (+33 0) 1.4887.2110)